본문 바로가기

부자가될거야

[재테크/모바일뱅크] 신협 온뱅크 설치하기 & 모바일 출자금 개설하기(조합원 가입하기)

안녕하세요^0^

제가 얼마전에 신협 플러스 정기적금에 대해 포스팅한 적 있죠?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이셔서 설치하는 부분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상품 안내는 아니고 신협 온뱅크 어플 설치하는 화면을 순서대로 정리해보려고해요.

많은 분들이 쉽게 하시지만 간혹 '몰라서 안 한다' 하시는 분이 계실까봐

쉽게 따라하시기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써봅니다.

 

바로 화면 캡쳐한거 올라갑니다잉

우선 핸드폰에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온뱅크를 설치해 주실 거예요.

 

 

요 아이콘에서 '온뱅크'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온'이라고만 쳐도 나오더라고요.

 

 

요렇게 생겼어요 ㅎㅎ

 

1. 설치한다.

2. 열기

 

 

온뱅크 시작하기 누르기!

 

 

바로 인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필수 항목이기에 전부 동의를 해주시고

이름, 생년월일, 신분증 뒷자리 맨 앞자리하나하고~

통신사와 핸드폰 번호를 입력해주시고 인증번호 전송 누르시면 됩니다.

인증번호 입력하시고 확인 누르시면 바로 다음단계!

여기서 핸드폰이 본인 명의가 아니라면 신분증 촬영해서 인증도 가능합니다!
신분증은 반드시 인증되어야하기 때문에 사진이 명확하지 않으면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음에서도 필수 동의 누르시고 이름 적고

여기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입력해주셔야 하는데요.

뒤에 동그라미 일곱자리있는부분을 터치하셔서

숫자 랜덤 키패드에 뒷자리를 입력하시면 다시 초기화돼서 또 누르라고 뜰 거예요.

두 번 확인하는거라 두 번 눌러주시면 되는겁니다.

여기서 어플 이상하다고 포기하시는 분들이 많이계시더라고요.

저도그랬어요 ㅋㅋㅋㅋ

이거 친구걸로 가입해주면서 캡쳐한건데

친구도 이거모야! 하더라고요

다들 기억해주세용!ㅎㅎ

 

여기서 화면이 더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사진이 없네요ㅠㅠ..
여기서 계좌선택하는화면이 나오는데
제 기억으론..
1. 계좌가 나오고 비밀번호 4자리 누르는 화면.
여기서 비밀번호 4자리 부분 누르면 키패드가 나옵니다. 그걸로 비밀번호 네자리 누르시고 다음 넘어가시고요.
2. 전자금융가입조합
자신의 신협 계좌들이 나오는 화면.
여기서는 계좌를 누르면 파란색으로 체크되는데 그다음 맨 위에있던 가입조합 박스를 누르면 땡땡신협 하고 해당조합이름이 조회돼요.
그럼 그 조합누르면 선택되고 그 담에 다음 버튼.
여기서 약간 헷갈렸거든요?
아까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두번썼던것처럼요.
조금 아쉬움이있던 부분이네요..
그림없는 제 설명이 이해가셨길 바랍니다..ㅜㅜ
3. 땡글뱅이 6개 나오는 화면.
앞으로 이 어플 접속할 때 로그인 할 비밀번호 6자리 만들어주는겁니다. 마찬가지로 2번 반복해서 입력하시고, 로그인방식 추가하고싶은거 있으시면 추가하시고 다음 누르시면돼요.
그럼 아래 화면처럼 가입축하화면이 나오고 '로그인 하기' 누르셔서 비밀번호 6자리 한 번 더 누르시면 접속됩니당.

 

그럼 온뱅크 가입 끝 ㅎ

참 쉽죠잉~?

 

그럼 전 여기서 이만 ^^ 다들 즐거운 시간 되세용 ^^

.

.

.

 

다시 돌아왔습니다. ㅎㅎ..

이것만 알려드릴 순 없으니 조합원 가입도 해볼건데요.

가입이 완료되면 '로그인'버튼을 눌러주고 가입비밀번호로 만든 6자리 숫자를 입력해줍니다.

 

 

이렇게 계좌가 전부 나오고욤.

여기서 더하기 표시 누르면 원하시는 계좌 개설이 됩니다.

더하기누르고요!

 

 

저번에 게시했던 플러스정기적금이 젤 위에 나오네요 ㅋ_ㅋ

옆으로 슥슥 밀다보면 조합원가입이 나옵니다.

제가 조합원가입을 하려는 이유는 비과세혜택을 받기 위함이에요.

사실 저번 글을 친구한테 보여줬거든요.

피드백받기 위해서 봐달라고했는데 상당히 높은 금리에 친구도 관심이있었나봐요.

접때 말했듯이 저는 가입을 못하다보니 친구꺼 완전 열심히 만들었습니다.ㅋ_ㅋ,,

암튼 그래서 적금도 개설할거라 비과세 한도 사용하려고 조합원 가입도 했어요.

조합원 가입도 자격이 있습니다.

🌟개설하려는 조합의 지역과 가입하는 회원의 거주지 또는 직장의 지역이 일치해야돼요.🌟

신분증상의 주소로 확인해도 되고 실제 주소지와 다르다면 등본으로 확인하거나

직장의 경우 재직증명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위 서류는 제일 마지막에 첨부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암튼 여기서는 옆으로 슥슥 넘겨볼게용

 

 

요렇게 나오쥬?

 

 

밑으로 내리면 조합원에 대한 개념이 간략하게 나옵니다.

ㅎㅎ..패쓰..

조합원 가입 누르면 다음으로 넘어가져용

 

 

어느조합으로 선택할 지 골라서 해주시면 되고요.

그건 입출금통장에서 출금되어야하기 때문에 입출금통장 개설할 때 부터 원하는 조합으로 해주셔야 돼요.

자택주소 입력하시고 직장 있으시면 직장주소도 입력해주셔야돼요.

다음으로 고!

 

 

어떤 상품이던 첫 가입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반드시 등록해야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요 ㅎㅎ..

등록 눌러주시고

 

 

왜때문에 고객확인등록이 필요한지 설명되어있는 화면이에요.

마찬가지로 확인 누르실거고요.

어플에서 넘어갈 때 제대로 안보실수도 있으니까 여기 게재하겠습니다.

보실분 보세요 ㅋㅋㅋㅋ... 예를들면 나라던가... ㅎㅎ

 

 

주소를 다시 한 번 입력해줘야 합니다.

 

 

직장이 있다면 직장주소와 연락처를

무직이라면 무직이라고 체크하고 자금원천도 입력해주셔야돼요.

 

 

전부 입력했으면 다음버튼 누르고!

다음버튼 누르면 비대면실명인증내역이 있으니 인증생략가능하다고 나옵니다.

이건 어플설치하면서 인증했던 내용이 있어서 생략가능한 것 같습니다.

!!!신분증 인증같은 경우 사진 찍어서 정보를 확인하는 건데 신분증 상의 사진이 흐려서 특징점이 확인이 어렵다면 온뱅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증 가능한 신분증을 사용하거나 그게 안된다면 어플 사용을 못 합니다...!!!

 

 

 

우왕 등록완료 ㅎㅎ

 

 

 

 

 

 

 

 

 

 

 

오.. 옆에 쓰는것도 되네요..?

함 해봐야겠어요.

 

옆 사진은 출자금 통장 핵심설명서입니다.

계좌 개설할 때 어떤 성격의 계좌인지는 알고 개설하셔야합니다!

왜냐하면 이 통장은 예금자보호가 안되기 때문이에요!

 

 

 

 

 

 

 

 

 

 

 

 

 

옆에 나오는 필수 설명사항을 체크해주시면 확인한걸로 간주합니다.

1. 예금자보호대상이 아닌 점.

2. 손실액을 차감하고 지급받을 수 있는 점.

3. 탈퇴해야 받을 수 있고,

탈퇴 후 다음연도 총회 이후에 받을 수 있는 점.

 

 

다음 버튼 누르시면 자필서명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마찬가지로 성함 두 번 적어주시면 됩니다.

 핸드폰에다 손으로 적는거라 편하진 않더라고요 ㅎㅎ..

 

 

여태 기입한게 쭉 정리돼서 나와요. 다음버튼 누르면 끗!

 

 

 

 

 

 

 

 

 

 

 

 

 

 

 

 

 

 

 

 

 

 

 

 

 

 

 

 

 

 

아니네요...^^..

사진을 한 번 더 찍어야 하네요..ㅎㅎ

 

 

 

 

 

 

 

중요한 것도 안하고 끝이라고 하려 했네요 ^^;

출자금 통장에도 비과세 한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출자금 통장은 조합원 가입 통장으로 지역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등 비과세로 출자할 수 있는데요.

 

그 비과세 한도는 전 금융기관 합쳐서 총 1,000만원입니다.

통장 성격은 수시로 입금이 가능한 통장이기 때문에 처음 개설할 때 비과세로 개설하려하신다면

얼만큼 불입 가능하게할 지 설정해주셔야돼요.

 

한도는 총 1,000만원.

 

설정한 한도를 꼭 채워서 납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한도를 낮게 설정했다면 추가입금을 원할 때 한도에 막혀서 입금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도를 높게 잡아두었을 경우에는 다른 조합에 추가로 출자 가입을 하실 때 비과세 한도가 부족해 과세로 개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정해둔 한도까지 출자하지 않았다면 조합 내방하셔서 한도를 낮게 변경하시고 다른 조합에서 비과세로 출자하실 수 있습니다.

 

잘 고민하셔서 한도를 정하셔야겠죠?

한도는 변경가능하지만 제가 온뱅크를 뒤져봤을 땐 한도변경하는거는 못봤어요. 방문해서 변경해야할 듯 합니다.

 

 

 

 

 

 

 

 

 

 

 

 

 

 

옆에 화면 윗 부분에 세금우대 가입부분에서 아래화살표를 누르시고 저율과세를 택해주시고요.

한도조회를 눌러주세요. 그럼 한도가 조회됩니다.

아래에 원하는 한도를 입력해주시고요.

 

 

 

 

 

비과세로 하셨으면 출자금 과세특례 가입 유의사항에 체크해주시고요.

출자금 신청금액은 원하시는만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우리는 최소출자만큼만 하려고 5만원을 입력했어요.

최소 출자금액 또한 조합마다 다릅니다.

 

출자금 출금계좌는 계좌 개설되면서 금액이 빠져나갈 입출금 계좌예요. 먼저 보유하고 있던 계좌가 되겠죠?

아래에는 잔액이 나오는 거고요.

 

배당금은 1년에 한 번 총회가 열리고 나서 지난 해 결산 난 만큼 배분해주는 겁니다. 

배당금은 출자금통장이나 입출금 통장으로 받을 수 있고 선택해주시면 돼요.

출자금 통장으로 받으면 계속 그 금액에 더해져서 내년, 후년에 배당금을 수령하겠죠? 다만 출금은 할 수 없을 것이고요.

 

입출금 통장으로 수령하면 인출 가능할 것이고 출자금 잔액은 따로 늘어나진 않게 되겠죠. 출금가능한 통장에 수령해서 선택적으로 출자할 수 있겠습니다.

 

이후 다음을 클릭해주시면 이번엔 정말로 끝입니다.

다들 수고하셨서용..^0^..

 

 

 

 

 

 

 

 

쨔란 전부 나오죠?

이 상태로 출자하시겠습니까?

라고 나옵니다.

네네 당연하죠. 어떻게 작성한건데 T0T

사실 어플상으로 가입할때 너무 빨리돼서 모야 짱쉬운데? 생각했는데

블로그에 옮기니까 생각보다 오래걸려서 힘들어써여...ㅎㅎ.... 

다들 내 마음 알아줘..

 

 

대망의 마지막사진...!

아까 중간에 언급했습니다.

물론 슉슉내리느라 못보셨겠지만요 ㅋㅋ....

출자금 통장을 개설하시려면 해당 조합과 나의 거주지 지역이 일치해야합니다.

다른곳에 산다면 다니는 직장이 일치해야해요.

이 사실을 조합에 확인시켜줘야 조합원이될수있거든요.

비대면으로 조합원가입 신청을 해도 바로 계좌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조합의 승인이 있어야 가입이 됩니다.

증빙서류가 미비한 경우에는 추가요청이와요.

우리같은 경우에는 신분증에 명.확.히. 현 주소지가 나와있기 때문에 추가서류는 첨부하지 않았습니당 ^0^

그치만 현 주소지가 신분증상의 주소지와 다를 때에는 등본, 또는 직장주소와 조합주소가 일치할 경우에는 재직증명서 등 다른 서류를 첨부해주셔야합니다.

이러케 해서 기다리면 자동으로 출자금 통장이 뿅...!

바로는 아니고 허가가 떨어지면 뿅..!

와...!드뎌됐어여...ㅋ

 

 

 

 

 

출자금 통장이 개설되면 홈 화면에서는 확인이 안돼요.

 

아래쪽 빨간색 상자부분을 누르시면 다른 화면이 나오는데요.

그 화면에 전체계좌가 전부 나옵니다.

 

거기서 밑으로 쭈욱 내리면 출자금 계좌가 나와요.

 

 

이렇게 여기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

여러분 저는 오늘 너무 수고했어요.

내일 오전에 외출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말이에요.

그렇다면 새벽까지 수고한 저는 내일 늦잠자지않게 꿀잠자러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께 소소한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그럼 모두 행복한 꿈 꾸세요^^!